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사오정75

서유기 속 손오공의 첫 번째 파문 장면과 두 번째 파문 장면 비교 서유기 전개에서 중요한 이벤트로 등장하는 사건은 다름 아닌 삼장법사의 뜻을 거슬렀다는 이유로 손오공이 파문당하는 사건입니다. 손오공이 첫 번째로 파문당하는 사건은 100회 본 서유기 제27회 '시마(屍魔)는 당나라 삼장을 세 차례나 농락하고, 성승(聖僧)은 미후왕의 처사를 미워하여 쫓아내다(제목 출처 : 문학과 지성사, 『서유기』 3권)'에 해당하는 내용. 시체에 깃들어 태어난 요괴 백골정(白骨精)은 진원대선의 인삼과를 먹은 삼장법사의 인육을 노려 세 차례나 인간 흉내를 내며 접근을 시도하고, 그때마다 요괴의 정체를 눈치챈 오공에 의해 저지됩니다. 앞서 두 번이나 간발의 차로 요괴를 놓친 오공은 마지막에 가서 요괴를 붙잡아 여의봉으로 때려눕히는데 이것을 인간을 죽이는 것이라 삼장에게 오해를 받아 파문을 .. 2023. 5. 30.
소설 '서유기'에서 드러나는 외모지상주의 측면 비판 고전소설 중에서 '서유기'가 독특한 것인지 몰라도 주인공들의 외모가 상당히 특이하게(?) 설정되어 있어 외모만으로 봤을 때 주인공들이 그다지 사람들에게 환영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삼장법사는 원래 역사 속에서도 수려한 외모를 지녔다는 이야기가 있어서인지 소설에서도 그런 점이 반영되어 남녀 할 것 없이 호감을 사는 외모로 묘사되는 반면 그 제자들인 손오공은 털북숭이에 뇌공(중국 전설 속에 등장하는 얼굴이 검은 벼락의 신) 같이 생겼다고 자주 언급되고, 저팔계는 말할 것 없이 돼지 얼굴에 커다란 주둥이와 부채 같은 귀를 가졌다고 나오며, 사오정은 앞의 둘에 비하면 인간에 가까운 생김새이긴 하지만 산발한 붉은 머리에 푸르스름한 검은 얼굴, 날카로운 이빨을 가졌다고 묘사돼요. 즉, 삼장의 세 제자는 귀.. 2023. 5. 29.
만화 '최유기'의 주인공들은 원전 '서유기'의 성격을 어떻게 이어받았는가 유달리 일본 만화나 애니메이션 가운데 고전소설 '서유기'의 소재를 가지고 재창작한 작품들이 제법 있는 거 같습니다. '서유기'의 옛 원전 자료 중 하나가 일본에서 발견되기도 했고, 우리나라에서 '삼국지연의'가 사랑받는 것처럼 일본에서는 '서유기'가 사랑을 받는 게 아닐까 생각이 들었는데 아무래도 모험물이라는 원전의 특성상 이것을 각색하거나 재창조하는데 유리한 측면이 있으니 애니메이션과 만화 산업이 발달한 일본에서 이 좋은 소재를 그냥 놔둘 리도 없을 테고요. 당장 서유기를 모티브로 한 일본 만화하면 제가 떠올릴 수 있는 작품들은 그 유명한 '드래곤볼'과 '최유기' 이 두 작품입니다. '드래곤볼'이 어느 정도 모티브만 따왔을 뿐 본편의 전개에서 소설 '서유기'와는 매우 판이한 양상을 가진다면 그래도 '최유.. 2023. 5. 26.
서유기 : 손오공의 모험 제49화 2023. 5. 26.
문학과지성사판 서유기 해설 - 서유기의 주인공들 * 문학과 지성사판 '서유기' 부록의 해설본 참조 (검은 글자 해설본 참조 / 컬러 글자 개인 해석) * 포스트 원본 출처 : https://blog.naver.com/naninkan/120204020277 문학과 지성사판 서유기 해설 - 서유기의 주인공들 * 문학과 지성사판 오승은 저, 임홍빈 편역 축약판 3권 마지막장에 실린 서유기 해설의 일... blog.naver.com 첫 번째 삼장 법사 현장스님은 불굴의 의지로 국가 금령을 어겨가며 황량한 사막과 험산준령을 넘어 구사일생으로 이국 타향 인도에 들어가 17년 동안 부처님의 법을 구하고 귀중한 경전을 구해 돌아온 역사 속의 위대한 인물로 전해진다. 하지만 7백 년이 지나 등장한 소설 『서유기』에 등장하는 당나라 스님 삼장법사의 이미지는 인간적인 측.. 2023. 5. 25.
서유기 : 손오공의 모험 제48화 2023. 5. 20.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