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20

『관우의 의리론』 감상문 예전에 관우신앙- 관제 신앙을 다룬 책을 읽은 적도 있고, 관제신앙에 관해서 인터넷상에서 찾아본 적도 있지만 대개 관제신앙의 형성을 위정자 입장에서 해석하는 경우가 많아 뭔가 부족하단 생각을 했는데, 이 책은 특이할 정도로 민중적인 관점에서 관우-관제신앙의 형성을 살펴보고 있습니다. 이미 리뷰한 바 있던 『관우 : 삼국지의 영웅에서 의리와 부의 신이 되기까지』나 『한국의 관제신앙』도 관제신앙의 형성과정과 변천사를 살펴본 책입니다. 앞의 두 가지 책과 이 『관우의 의리론』에서 공통점을 보이는 점이 관우는 본디 민간의 인기 많은 신이 되었다가 나중에 중국에서 국가적인 신이 되었다는 점인데, 흔히 나라에서 백성들을 세뇌시키기 위해 관제신앙을 포교했다는 것은 맞는 말이 아니라 위정자 입장에서 민중을 다스리기 편.. 2025. 3. 30.
『삼국지 경영학』 감상문 보통 『삼국지연의』를 소재로 한 자기 계발서 류의 책은 별로 좋아하지 않는 편이지만 그래도 『삼국지연의』를 소재로 한 내용들이기 때문에 읽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이 책도 순전 『삼국지』가 제목에 들어가서 빌려왔다고 할 수 있겠네요. 이 책은 『삼국지』 속의 조조, 유비, 손권의 새로운 일화들이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으로 빌려온 셈입니다. 생각보다 딱히 새로운 이야기는 못 보았는데, 조조는 유능함과 비정함을 둘 다 갖추고 인재를 아끼는 인물로 설명이 되어있고, 손권은 흔히 붙여지던 '수성'의 대가로 설명이 되더군요.  하지만 유비에 한해서는 뭔가 더 진솔한 이미지로 설명이 되던데, 보통 다른 서적에서 유비는 이중적, 흑심을 안에 품은 후흑의 본좌라는 식으로 설명이 더 많이 나오는 반해 이 책은 순전히 인.. 2025. 3. 30.
『길위에서 읽는 삼국지 : 삼국지 기행』 감상문 『길위에서 읽는 삼국지 : 삼국지 기행』은 저자가 『삼국지』 관련 유적을 직접 찾아다니며 그 사진과 유적을 보면서 겪은 느낌이나 경험담, 그리고 연의와 야사, 정사를 통틀어 『삼국지』에 대해 설명해주는 책입니다. 기행문 겸 『삼국지』 연구서라고도 할 수 있을까요? 보면서 재밌는 것은 대개의 『삼국지』 유적은 정사에 기반한 것들이나 실제 후한시대의 유적이라기보단 『삼국지연의』가 널리 읽히면서 유명해진 곳도 있고, 『삼국지연의』에 기대어 관광상품화한 것도 되게 많다는 겁니다. 책의 표현에 따르면 역사적 유적이 아닌 '문학적 유적'이라고도 하더군요. 다만 저자는 『삼국지연의』가 모두 정사에 기반한 것이 아니라 원래 역사에 어긋나는 부분도 있으므로 왜곡에 대해선 주의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입니다.책은 재미난 편입.. 2025. 3. 27.
『삼국지의 책사들』 감상문 이 『삼국지의 책사들』은 우연히 발견하게 되어 빌려온 책인데 제목 그대로 『삼국지』의 세 수장 조조, 유비, 손권을 보좌한 다양한 책사들을 평하는 책으로, 조금 아쉬운 점을 먼저 지적하자면 정사보다는 연의의 기록에 더 치중한 점이 간간이 보이기 때문입니다. 특히 유비 측의 인물들이나 책의 마지막 부분에 실린 여포의 책사 진궁이나 원소의 책사 저수 같은 경우는 내용의 상당수가 연의에서 기대고 있어서 잘 모르는 사람이 본다면 헷갈릴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이것은 아무래도 위나라나 오나라 측 인물보다 기록이 적은 경우가 있어서 그런 것도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만. 인물 한 사람의 평이 끝날 때마다 보라색 페이지로 부록이 딸려 있는데 오히려 그쪽의 글이 더 정사에 가까운 면이 있지 않나 싶네요. 반면에 위.. 2025. 3. 27.
『명언으로 읽는 삼국지』 감상문 도서관에서 빌려온 『명언으로 읽는 삼국지』는 노란 책표지가 눈에 띄기도 했고, 책 저자가 『삼국지』 연구 분야에서 유명하다고 하는 이나미 리츠코 여사였으니 읽어서 나쁘지 않겠다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또 『명언으로 읽는 삼국지』라는 제목 답게 이 책은 『삼국지연의』의 인상적인 글귀들을 뽑아서 해석하고 그 글귀나 문장이 어떻게 등장하게 되었는지 이삼페이지 내로 설명해주는 책인데 설명은 문장의 해석문을 제일 첫부분-제목에 해당되는 부분-에 놓고 바로 아래 원문 한자를 놓습니다. 그리고 그 아래쪽 문단에 이 문장이나 글귀가 연의의 어느 부분에 등장하며 그 문장을 읊은 이가 작가인지, 아니면 등장인물 중의 하나인지를 설명해주고 그런 글귀가 나오게 된 배경과 그에 해당되는 『삼국지연의』 속 이야기를 풀어서 설명해줍.. 2025. 3. 11.
『한국의 관제 신앙』 리뷰 『관우 : 삼국지의 영웅에서 의리와 부의 신이 되기까지』를 리뷰하면서 중국의 관제 신앙이 어떻게 형성되어 왔는지를 살핀 적이 있습니다. 그 책을 리뷰하면서 우리나라에서의 관제 신앙에 대해서도 언급을 했었는데, 『한국의 관제 신앙』은 중국과는 다른 한국에서 형성된 관제 신앙에 대해 살피고 있는 책이라고 할 수 있어요. 책은 크게 내용을 두 가지로 나누면서, 중국 쪽의 관제 신앙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하고, 상당량에 해당되는 나머지 부분은 한국에서 형성된 관제 신앙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고 있습니다. 책에서 관제신앙이 가장 처음 한국에 들어온 적은 언제이며, 어떤 식으로 관우가 숭배되어 왔고, 민중들은 그것을 어떻게 받아들였는지에 대해서 밝히고 있으며, 관우를 직접적으로 신격으로 숭배한 한국의 종교는 어떤 것이.. 2025. 2. 16.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