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유기 에피소드의 유사성 1. 차지국 에피소드에서 갈라져 나온 제새국, 비구국, 멸법국 이야기

by 01사금 2023. 6. 13.
300x250
반응형

소설 '서유기'의 에피소드 상당수가 삼장의 고기(인육), 혹은 정기를 노리는 요괴들이 함정을 파고 삼장을 속여 납치, 그리고 그것을 구하러 가는 오공과 동생들의 이야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읽다 보면 같은 구도의 에피소드가 반복된다는 느낌을 받기도 하는데 그중에선 삼장 납치-오공이 구원하는 구도를 벗어나 독특한 느낌으로 구성된 에피소드가 존재하기도 합니다.


이에 가장 적합한 에피소드가 바로 소설 '서유기' 완역본 5권에 실린 차지국에서 핍박받는 승려들을 구원하는 이야기로, 이 차지국 이야기는 삼장을 노린 요괴들의 소행이 아닌 한 나라를 집어삼키고 국왕의 환심을 사기 위해 승려들을 희생시킨 세 요괴 도사에게 승부를 걸어 그들의 정체를 밝히고 승려들을 구제하는 이야기입니다.


재미있게도 이 차지국 에피소드의 구도는 후반에 등장하는 타 에피소드에서 다시 활용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7권 제새국에서 국보(國寶)를 훔쳤다는 누명을 쓰고 처벌 당할 위기에 놓인 승려들을 구해주는 에피소드와 8권 아이들의 심장을 달여먹으려는 비구국의 요괴 국구(國舅) 에피소드, 9권 승려들에게 원한을 품고 죽이려는 멸법국 에피소드에서 구도의 유사성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1. 한 나라에서 국왕이 잘못된 판단으로 백성을 죽이려 함.

차지국의 황제가 도사로 변장한 요괴의 꾐에 넘어가 승려들을 탄압함. 


> 비구국의 황제가 요괴 국구의 꾐에 넘어가 아이들의 심장을 빼앗아  죽이려 함. 
> 제새국의 황제가 승려들이 국보를 훔쳤다고 오해하여 처벌하려 함.
> 멸법국의 황제가 자신을 비판한 승려를 미워해 나라의 승려들을 모두 죽이려 함.


2. 요괴들이 음모를 꾸며  황제의 판단을 흐리게 만듦.


차지국의 황제는 기우제를 성공시킨 요괴 도사들만을 총애함,
> 비구국의 황제가 미녀 딸을  바친 요괴 국구만을 총애함.
> 제새국의 보물을 만성 용왕과 그 요괴 사위가 훔쳐내는 바람에 승려들이 누명을 씀.


3. 국왕의 명령으로 나라에서 불교와 관계된 자들을 탄압함.


차지국의 황제는 비를 내리지 못한 승려들을 무능하다고 생각하여 노예로 만들고 탄압함.
> 멸법국의 황제는 자신을 비방한 승려들을 미워해 승려 만 명을 죽이려 함.


4. 요괴의 정체를 드러내어 물리침.


차지국에서 오공이 요괴 도사들과 세 번 승부를 겨뤄 요괴들의 정체를 밝히고 응징함.
> 비구국 국구가 아이들의 심장 대신  삼장의 심장을 노리자 오공이 삼장으로 변신하여 심장을 꺼내는 술법을 보여준 후 요괴의 정체를 밝히고 궁에서 쫓아냄.
> 제새국에서 보물을 훔친 것은 요괴들의 소행이라는 것을 밝혀 승려들의 누명을 벗김.


5. 무고한 사람들을 구해내거나 국왕의 정신을 바로잡은 뒤  환대를 받으며 다시 서천행을 떠남.


차지국에서 황제에게 유불도를 차별하지 말기를 당부하면서 승려들을 노예 상태에서 해방시키고 감사의 인사를 받으며 서천행을 떠남.
> 제새국에서 누명을 쓰고 처벌 당할 뻔한 승려들을 구해냄. 승려들이 고마움 때문에 오공 일행의 서천행을 돕고 싶어 하나 오공 일행이 거부함.
> 비구국에서 심장을 빼앗길 뻔한 아이들을 구해냄. 아이들을 구제받은 비구국의 부모들이 오공 일행을 대접함.
> 멸법국의 황제를 설득하여 승려를 처형하는 정책을 멈춤. 나라 이름을 멸법국에서 흠법국으로 바꿈.


이야기가 전개되면서 사소한 변형은 존재하지만 기본적인 구도에서 비구국과 제새국 그리고 멸법국의 에피소드는 차지국 에피소드의 토대를 많이 따라가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포스트 원본 출처 : https://blog.naver.com/naninkan/221493730793

 

서유기 에피소드의 유사성 1. 차지국 에피소드에서 갈라져 나온 제새국, 비구국, 멸법국 이야기

소설 <서유기>의 에피소드 상당수가 삼장의 고기(인육), 혹은 정기를 노리는 요괴들이 함정을 파고 ...

blog.naver.com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