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설 '서유기' 속 주인공들의 다양한 이름

by 01사금 2023. 5. 31.
300x250
반응형

소설 '서유기'의 특징 중 하나는 주인공들의 이름이 매우 다양하게 불린다는 점입니다. 소설 '삼국지연의' 같은 경우 주인공들의 이름이 유비-유현덕, 조조-조승상, 관우-관공 이런 식으로 같은 인물을 다르게 부르는 경우가 많은데 '서유기'도 비슷하게 한 인물에 여러 이름이 딸려 있는 경우를 확인할 수 있어요. 어쩌면 옛 고전소설의 특징일지도 모르는 부분이겠네요.

 

1. 손오공

 

- 손오공(孫悟空)
손오공이란 이름은 그의 첫 번째 스승인 수보리 조사가 손오공의 모습을 보고 원숭이와 같다 하여 원숭이 손(狲)과 비슷한 발음 손자 손(孫)을 성씨로 하고 '공(空)'을 깨닫는다는 의미로 '오공(悟空)'이란 이름을 지어줍니다.


- 미후왕(美猴王)
손오공이란 이름이 부여되기 전 화과산 시절 소설 상에서 명칭은 '돌원숭이', 화과산 원숭이들의 왕으로 추대되었을 때에는 '잘생긴 원숭이 왕'이란 뜻으로 '미후왕(美猴王)'으로 불립니다.


- 필마온(弼马温)
후에 천궁에 불려가 천궁의 마구간을 다스리는 '필마온' 직책을 받은 이후, 손오공이 행패를 부려 상대방에게 욕을 먹거나 요괴들이 그를 모욕할 때는 필마온이란 이름을 부릅니다.


- 제천대성(齊天大聖)
반면 상대방이 손오공을 칭송하거나 그의 비위를 맞춰줄 때는 천궁에 반기를 들었을 무렵 사용했던 '하늘과 같은 성인'이란 뜻의 '제천대성(齊天大聖)'이란 명칭으로 부르기도 합니다.


- 손행자(孫行者)
후에 삼장법사의 제자가 된 이후에는 그 모습이 어린아이와 같다 하여 삼장법사는 '손행자(孫行者)'라는 별명을 부여해줍니다.


- 투전승불(鬪戰勝佛)
삼장을 호위하여 경을 구하는 임무를 마치고 손오공이 부여받은 직책입니다.

 


2. 삼장법사

 

- 진강류(陳江流)
소설 '서유기'에 등장하는 삼장법사의 출생담에서, 삼장법사가 태어날 때 강에 버려져 강물을 타고 왔다는 이유로 스승인 법명화상은 그에게 '강류(江流)'라는 이름을 붙여줍니다.


- 현장(玄裝)
강류가 18살 되어 부여받은 법명은 현장(玄裝)입니다. (아버지의 성이 진 씨이므로 이름은 진강류.)


- 삼장법사(三藏聖師)
가장 많이 등장하는 명칭 '삼장법사'는 후에 당태종과 의형제를 맺은 뒤 부여받은 이름으로, 삼장(三藏)이란 명칭은 경장(經藏) · 율장(律藏) · 논장(論藏)에 능하여 얻게 된 별칭입니다.


- 어제 당승(御弟 唐僧)
어제는 삼장법사가 당태종과 의형제를 맺었기 때문에 등장한 이름입니다. 당승은 '당나라에서 온 승려'라는 뜻.


- 금선자(金蟬子)
삼장법사의 전생. 부처님의 제자였을 때 명칭입니다.


- 전단공덕불(傳檀功德佛)
삼장법사가 경을 구하는 임무를 마친 후 부처님으로부터 부여받게 된 직책입니다.

 

* 옥룡삼태자(玉龍三太子)
서해 용왕의 오윤의 아들로 불효죄로 쫓겨난 것을 관세음보살이 귀의시켜, 서천으로 가는 삼장법사를 태우는 백마의 임무를 수행합니다. 작중에서는 거의 백마(白馬) 혹은 용마(龍馬), 혹은 젊은 용왕이라고도 불리며 임무를 마친 후에는 팔부천룡(八部天龍)이 됩니다.

 

3. 저팔계

 

- 천봉원수(天蓬元帥)
저팔계의 전생으로 하늘의 은하수 8만 수군을 다스릴 때의 명칭입니다. 작 중 신들이 팔계를 부를 때 자주 사용하는 명칭. 하지만 연회에서 월궁 선녀 항아를 희롱한 죄로 처벌을 받고 추방되어 인간계에서 돼지 요괴로 환생하게 되는데...


- 저강렵(猪剛鬣)
요괴 시절 스스로 붙인 이름이 저강렵입니다. 성인 '저'는 돼지 저(猪).


- 저오능(猪悟能)
관세음보살을 만나 불교에 귀의하면서 얻은 법명.


- 저팔계(猪八戒)
저오능이 식탐이 강하기 때문에 삼장이 불가에서 금하는 여덟가지 음식(오훈삼염)을 먹지 말라고 부여해준 이름입니다. 


- 정단사자(凈壇使者)
저팔계가 삼장을 호위하는 임무를 마치고 부여받게 된 직책입니다.

 

4. 사오정

 

- 권렴대장(捲簾大將)
사오정이 천궁에서 옥황상제를 호위하고 시중을 들었을 때의 명칭입니다. 팔계처럼 작중의 신들이 사오정을 부를 때 사용하는 이름. 하지만 연회에서 귀한 보물 잔을 깨뜨린 죄로 처벌을 받고 유사하 강으로 추방당하는데...


- 사오정(沙悟淨)
유사하를 지나는 관세음보살을 만나 '사오정'이라는 법명을 부여받게 됩니다. 여기서 성인 '사(沙)'는 유사하(流紗河)에서 따온 성씨.


- 사화상(砂和尙)
후에 사오정이 삼장법사를 만나 그의 제자로 들어갈 때, 그 모습에 화상의 기품이 서려 있다 하여 스승으로부터 '사화상'이라는 별명을 부여받게 됩니다.


- 금신나한(金身羅漢)
삼장을 호위하는 임무를 마치고 사오정이 부여받게 된 직책입니다.

 


 

* 포스트 원본 출처 : https://blog.naver.com/naninkan/221317633799

 

소설 <서유기> 속 주인공들의 다양한 이름

소설 <서유기>의 특징 중 하나는 주인공들의 이름이 매우 ...

blog.naver.com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