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한국설화2

창작그림 02. 소설 『이무기 : 세상을 수호하는 신』그림들 카카오페이지에 연재했던 창작소설 『이무기 : 세상을 수호하는 신』의 일부 장면들을 그림으로 완성해보았습니다. 『이무기 : 세상을 수호하는 신』 는 한국의 이무기 설화에서 소재를 따온 소설로, 이무기가 변신한 주인공들이 천계의 명을 받아 세상을 어지럽히는 존재들을 제압하고 다닌다는 내용입니다. https://page.kakao.com/content/58570655 이무기 : 세상을 수호하는 신 사람들 사이를 맴도는 기묘한 존재들. 그리고 세상을 떠도는 기묘한 존재들을 다스리는 오래된 네 마리 이무기 이야기.과거 선계의 왕국 ‘불라국’을 수호했던 푸른 이무기 산저라, 이국에서 page.kakao.com 그림 속 주인공들은 파이온과 산저라로 파이온은 과거 이국에서 건너온 황금색 이무기, 산저라는 과거 선계의 .. 2024. 1. 28.
설화에 각색이 들어가는 이유 : 동자꽃 설화와 여우누이 설화 사례 내가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한국설화 중에 어린시절 인상적으로 읽어서 아직도 기억에 남은 것들이 있는데 그게 바로 '동자꽃 설화'와 '여우누이 설화'다. 현대의 장르라는 개념으로 해석한다면 동자꽃 설화와 여우누이 설화는 굉장히 판이하다고 할 수 있는 내용으로 동자꽃 설화는 어린 동자가 외롭게 죽음을 맞는 슬픈 내용이며, 여우누이 설화는 그 시절의 공포물이라고 해도 무방할 정도로 오싹한 이야기다. 원래 설화는 사람들의 입에서 입으로 전해지는 구조라 지역이나 판본에 따라 약간씩 달라지는 요소가 들어가기 마련인데, 결말 부분에서 달라지거나 서두 부분에 이야기를 더 추가하여 인과관계를 더 뚜렷하게 만드는 경우가 있다. 설화에서도 사람들의 재해석이나 각색 - 일종의 2차라고 할 만한 창작이 들어가는 것으로 보이는데 .. 2024. 1. 28.
728x90
반응형